RESEARCH
(2006-present)

Dissertation
박사학위논문
-
남혜진(2020), 현대 패션 미디어에 나타난 모던의 표현특성과 의미
-
김희영(2019),인스타그램에 나타난 패션취향 표현
-
김가현 (2019), 포스트하위문화 관점의 한국 타투문화
-
한상지 (2019), 한국 뉴실버세대의 문화자본과 취향 연구
-
어경진(2019), 패션디자이너 브랜드의 디자이너 개성 표현 연구
-
안진현(2018), 한국 미디어에 나타난 여성 외모 담론-2000년 이후 뉴스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
-
김인혜(2018), 사용자중심 의복지속 가능성에 관한 연구
-
정다운(2018), 패션 전시의 공간연출 연구
-
김성은(2018), 현대 패션 시스템과 패션 트렌드 변화 연구
-
김고운(2018), 한국 직장여성의 자녀 관련 상황과 패션스타일
-
김세진(2017), 패션필름에 나타난 패션 이미지의 유형과 특성
-
이채영(2017), 한국 남성의 바디컨셔스 패션스타일
-
배윤지(2016), 미래연구방법론을 적용한 한국의 미래 의생활 예측
-
박유정(2016), 아웃도어웨어 색채 활용 연구 -한국 20~40대 재킷을 중심으로-
-
김종선(2016), 패션을 통한 페르소나 발현에 관한 연구
-
신혜영(2012), 한국 중상층여성의 패션취향
-
권상희(2011), 유토피아ㆍ디스토피아 미래관에 의한 현대 패션 디자인
-
전재훈(2010), 문화연구 시각에 의한 현대 패션의 디지털 특성
-
박주희(2009), 2000년대 한국ㆍ일본 청년 하위문화 스타일 비교
-
윤지영(2008), Vivienne Westwood, Issey Miyake, Hussein Chalayan 패션에 대한 도상학적 해석
-
최호정(2007), 현대 패션에 나타난 아시아, 아프리카, 라틴 아메리카 문화 하이브리드 경향
석사학위논문
-
슈칭칭(2020), 중국 개혁개방 이후 수입영화 의상의 유행
-
이주형(2020), 한국 중년 여성의 운동과 스포츠웨어
-
박수진(2020), 현대 패션에 나타난 대량 예술의 특성
-
김규연(2019), 성소수자의 복식을 통한 젠더정체성 표현
-
범가유(2019), 한국과 중국 언더그라운드 래퍼 패션의 특성
-
이정화(2018), 블랙패션마니아의 추구 이미지
-
손진호(2018), National Identity and Fashion Design
-
이론(2017), 중국 묘족 자수의 심미의식과 표현특성
-
라이윙(2017), 중국 현대 패션사진에 나타난 전통문화 요소
-
조제연(2017), 북한이탈여성의 복식문화적응에 대한 연구
-
허예은(2017), 한국 젠더리스 패션에 대한 연구
-
이열(2016), 중국 전통 천연염색의 특성에 관한 연구 -중국 윈남성을 중심으로-
-
김나윤(2015), 한국 인디패션의 개념에 관한 연구
-
이나현(2015), 한국 중년 남성의 젊음 추구와 유행 스타일 변화
-
주신영(2015), 디지털 시대의 패션산업 시스템과 패션리더
-
김희영(2014), 패션디자인에서 수공예적 장식의 가치
-
진단단(2014), Fashion Style and Information Source in Hangzhou, China
-
황려령(2014), 중국 패션잡지에 나타난 패션스타일
-
김태은(2014), 직장 복식규범과 20·30대 여성의 패션스타일 표현
-
정한솔(2013), 1990년대 후반이후 한국영화 여성의상에 나타난 섹슈얼리티 이미지
-
최지원(2013), 한국 남자중학생의 패션준거집단과 추구스타일
-
정소진(2013), 소비자중심의 패션제품 지속가능성
-
최선(2013), 2000년대 미술작품에 나타난 패션의 상징적의미
-
박정실(2012), 패션사진에 나타난 3세대 페미니즘 표현특성
-
원누리(2012), 빈티지 패션 마니아 특성에 관한 연구
-
유리리(2012), 배역에 따른 중국 경극 의상과 분장의 표현특성
-
권기림(2011), 버버리의 추구가치에 따른 패션이미지 변화
-
문재윤(2011), 한국복식 문화의 사치에 관한 연구
-
Sara Bastholm(2011), Sustainability in the Fashion Industry
-
이유진(2011), 판타지 영화 의상에 나타난 중세적 모티브
-
김민정(2011), 현대 패션쇼에 활용된 빛의 표현양상
-
박찬란(2010), 현대 패션에 나타난 신발과 가방의 조형적 특성과 브랜드 추구가치
-
이소정(2010), 영국 프랑스 이태리 미국 현대 남성 수트의 패션 이미지
-
이지예(2010), 현대 유니버셜 패션 디자인의 추구가치
-
방윤미(2009), 현대 수트의 성 정체성 표현에 관한 연구
-
전혜정(2008), 인텔리전트 웨어로서의 패션디자인에 관한 연구
-
서유진(2008), 1980년대 이후 패션 브랜드의 로고 디자인 활용에 대한 연구
-
김혜영(2008), 패션디자인과 타 디자인 장르와의 크로스오버 현상에 관한 연구
-
전재훈(2007), 현대 청소년 특성이 반영된 청소년 패션에 관한 연구
-
강정민(2007), 한국 대중문화에 표현된 스타 패션이미지에 관한 연구
-
김종선(2007), 현대 사회, 예술 특성과 패션 컬렉션 특성에 관한 연구
-
신혜정(2006), 1990년대 이후 남성 패션에 표현된 로맨티시즘
-
박주희(2006), 현대 패션에 표현된 그리스도교 이미지에 관한 연구
-
남수현(2006), 미국·영국·한국 「보그(Vogue)」에 나타난 패션 저널리즘
-
김자민(2005), 현대 패션에 나타난 장르간 하이브리드에 관한 연구